전문가 "레이저·드론 등 미래 무기 개발 투자를"
원천기술 여전히 美·英 의존
민간 R&D 지원 확대 필요
[이호준 기자, 매일경제]
전인범 전 특수전사령관(예비역 중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한국 방산은 제조 분야를 제외하면 원천 기술이 부족하고 인재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원천 기술 부족으로 인해 주요 무기체계의 상당 부분을 여전히 미국이나 영국 같은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 전 사령관은 "원천 기술을 축적해야만 우리가 개발한 무기를 수출할 때 제약 사항이 훨씬 적어진다"며 "인재에 투자하고 레이저 무기, 인공지능(AI), 드론 같은 미래 군사 분야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첨단 기술 도입 과정이 선진국에 비해 너무 더디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는 "미국에선 AI, 자율주행 등 미래 군사 6개 분야에 대해 제안서를 낼 경우 90일 이내에 평가와 선정을 마치고 1~2년 내 시제품 제작 계약까지 완료된다"며 "한국 정부도 신속 도입 절차를 만들어 민간 기술을 전력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기간이 5년으로 너무 길다"고 지적했다.
남명용 루미르 대표는 "인재 확보가 어렵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급여 격차를 줄여야 인재 확보의 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방위 산업 소재·부품·장비(소부장)와 정보기술(IT) 등을 연구개발(R&D)·판매하는 중소벤처기업들이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원준희 방산중기협회 회장은 "방산 중기가 대기업과 상생하면서 K방산업의 글로벌화를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디지털 트윈과 AI를 기반으로 무기체계 첨단화를 이끌고 있는 방산 중기 네비웍스 대표이기도 하다.
원 회장은 방산 중기 발전을 위해 소부장의 표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국내 방위 산업은 정부 주도의 '톱다운' 방식으로 이뤄졌지만, 이제는 민간에서부터 이뤄지는 '보텀업' 방식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민간 R&D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