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 Resources
  • Newsroom

Resources

[스타트업] 자율비행 드론 분야에서 넥스트 테슬라를 꿈꾸는 니어스랩


[성호철 기자, 조선일보]

드론하면 중국의 DJI 밖에 몰랐습니다. 한국 드론 산업의 몰락은 3~4년간 반복 재생된 뉴스 레퍼토리였습니다. 규제가 발목잡는 바람에 내수 시장마저 중국에 내줬다는 것이죠. 니어스랩은 그 편견을 깬 스타트업입니다. 이번주 그때투자(나는 그때 투자하기로 했다)에선 스톤브릿지가 니어스랩의 투자 스토리를 전합니다.


쫌아는기자들 1호가 최재혁 니어스랩 창업자와 짧은 인터뷰를 했습니다. 니어스랩은 자율 비행하는 드론을 만드는 스타트업. 현재 활용처는 산속이나 해상에 설치한 거대한 풍력터빈에 스스로 날아가서 문제가 없는지 외관을 안전 점검하고 돌아오는 일입니다. 지멘스와 베스타스, GE 등 세계 빅3 풍력터빈 제조사가 모두 니어스랩의 드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래 수동 비행, 그러니까 원격 조정하는 드론이 많았는데요, 저희는 스스로 대상을 인식하고 날아다니는 자율비행 소프트웨어를 만들었습니다. 이륙은 사람이 셋팅하지만, 그후엔 혼자서 알아서 해요.”  “사회 기반 시설물의 안전 유지를 돕는 일입니다. 예전엔 작업자가 크레인을 타거나, 밧줄을 타고 시설물에 다가가 눈으로 상태를 평가합니다. 이걸 안전 점검이라고 해요. 문제 발견하면 추후 수리나 유지보수를 하죠. 그쵸, 위험하죠. 또 점검 결과를 수기로 작성하는데 작업자 편차가 너무 커서, 데이터 축적도 어렵죠”


“드론이 날아가 다 찍고 안전점검을 합니다.해상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유럽에선 보통 연안에서 20~30km 떨어져있어요. 배를 타고 근처까지 가 드론을 뜨우면 1기당 15분이면 안전점검하고 돌아와요. 배터리 갈아끼고 다음 발전기요. 최대 하루에 15기까지 점검해요. 사람이 하면요? 예전엔 선박이 풍력발전기에 접안했고 사람이 직접 올라갔으니, 하루 1기 했죠.”  “정영석 CTO와 공동 창업했어요. 인공위성에서 창업 영감을 얻었어요. 인공위성은 사람이 못가는 우주에 올라가 지구의 데이터를 모았고 이게 네비게이션이나 네이버지도와 같은 혁신을 낳았잖아요. 우린 드론으로 인공위성보다 지구 가까운 데서 이런 데이터를 모을꺼예요. 드론으로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과 시점에서 기존에 없던 새 데이터를 만들면, 이게 생활을 바꾸고 산업을 바꾸는 데이터가 될꺼란 믿음입니다. 가능성 무궁하지 않겠어요?”


“스톤브릿지는 기술 기업을 알아보고 기다려주는 곳이죠. IT 서비스가 아닌, 저희같은 기술 기업은 보통 제품 만들고 사업 모델 잡는 등 스테이지가 참 많고 호흡도 길어요. 기술적 난이도도 높구요. 기술 기업의 이상을 이해하는 벤처캐피털이 스톤브릿지예요.”


[니어스랩의 드론 . 사람의 손길이 미치기 어려운 곳에 날아가 안전 점검한다./스톤브릿지 제공]


@[나는 그때 투자하기로 했다]는 벤처캐피털 현업이 ‘내가 왜 이 스타트업에 투자했는지’를 이야기하는 코너입니다. 이번 [그때투자]는 송영돈 스톤브릿지벤처스 이사가 니어스랩을 소개합니다.



자율비행 드론 분야에서 넥스트 테슬라를 꿈꾸는 니어스랩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신기술에 주목하고 신기술을 통해 태동하는 신산업 선도업체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특히 드론은 2013년 말 벤처캐피털 업계에 들어와 첫 번째로 투자심의위원회를 통과했던 아이템이기도 했다. 아쉽게도 그 회사와 투자까지 인연 맺지 못했지만 그 뒤로 드론 산업에 관심을 가졌다. DJI가 촬영에 특화 한 팬텀 시리즈로 B2C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컨슈머 드론을 추가 출시, 점차 글로벌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 견고한 위치를 잡아가는 DJI를 보면서 국내 드론 산업은 산업용 드론을 중심으로, 산업마다 드론 서비스를 세분화해 맞춤 솔루션을 공급해야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2016년 5월, 신문 기사에서 산업용 드론으로 교량을 안전 점검하는 니어스랩을 봤다. 막 본엔젤스, 퓨처플레이에서 시드 투자 3억 원을 유치한 시점이었다. 바로 니어스랩 최재혁 대표에 콜드 메일을 썼다. 최 대표는 흔쾌히 시간을 내줬다. 2시간 넘게 첫 미팅을 가졌고 이후 3개월마다 한 번씩 미팅했다.


최재혁 대표는 한국과학영재학교를 나와, KAIST 항공우주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았다. 두산중공업에서 터빈제어 SW 개발 및 플랜트 성능 평가를 수행하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줄 하나에 의지한 채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사실과 마주했다. 열악한 산업 현장 안전 점검을 바꾸는데 드론을 활용하자는 생각에 창업했다. 공동창업자는 절친이었다. 당시 쎄트렉아이에서 일하던 정영석 이사(공동창업자)는 최 대표와 고등학교 대학교 동기였다.



아무도 가지 않은 길과 인고의 시간,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역설적 매력


창업자 철학과 사업 아이템의 일관성, 그리고 공동창업자 간 상호 보완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니어스랩은 위대한 회사로 커나갈 좋은 씨앗으로 보였다. 물론 산업용 드론이라는 사업 방향도 좋았다. 초기 연구개발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이후 영업, 파트너십 등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때 꼭 필요한 사업총괄 임원을 엔지니어 출신인 최 대표가 잘 영입할 수 있느냐를 나만의 니어스랩 투자 기준으로 설정했다.


사실 최 대표는 나한테 투자 받을 생각이 전혀 없었을 수도 있을텐데 말이다. 첫 미팅 이후 2년 동안 염탐 아닌 염탐을 지속적으로 하던 중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본엔젤스에서 니어스랩 시드 투자를 맡았던 박은우 심사역이 CSO(Chief Strategy Officer)로 조인한다는 것이었다. 마침 니어스랩도 2년 만에 Series A 펀딩을 하려던 참이었다. 고민 없이 니어스랩에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2018년 6월 첫 투자했다.


니어스랩은 창업 초기에는 교량, 원자력발전소, 풍력발전단지 등 다양한 잠재 고객사에 파일럿이 조종하는 수동 드론으로 안전점검을 진행하면서 PMF(Product Market Fit)을 맞췄다. 그리고 드론 핵심부품인 FCC(Flight Control Computer)를 자체 개발하는게 주 사업모델이었다. 하지만 이후 풍력발전기 안전점검이라는 버티컬 타깃에 집중, 이를 완전 자율비행 드론 솔루션으로 수행하는 모델로 피봇하기로 했고, 이게 Series A 펀딩의 주목적이었다. 


스톤브릿지벤처스를 포함한 Series A 투자자들은 아직은 계획 뿐인 창업팀을 믿고 베팅한 것이다.


그 과정은 녹록치 않았다. 라이다, GPS 등 무거운 센서를 탑재해 현실적으로 접근하던 기존의 글로벌 드론 회사들과 달리, 니어스랩은 무거운 센서들을 줄이고 고화질 카메라를 탑재해 고품질의 안전점검 데이터를 축적하고자 했다.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이었기에 난관에 부딪히고 개발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때마다 괜한 일을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고민에 빠진 것도 사실이었다. 


회사는 우직하게 진행했다. 스톤브릿지벤처스도 2020년 상반기 니어스랩 Series B 펀딩에 가장 먼저 투자 커밋을 했다. 변함없는 신뢰였다.



세계 빅3 풍력터빈사를 고객으로... 해외서 돈버는 한국 스타트업


첫 결실을 보기까지 2년이 걸렸다. 세계적 풍력터빈 제조사 지멘스를 고객사로 유치한 일이다. 베스타스와 GE까지 고객사로 유치, 세계 3대 풍력터빈 제조사 모두에게 니어스랩 드론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지멘스는 풍력발전 점검용 자율비행 드론 솔루션 도입을 위해 세계 20여 개 드론 회사들을 면밀히 평가한 후 최종적으로 니어스랩을 선정했다. 아마도 니어스랩은 매출 대부분을 해외에서 버는 국내 유일 드론 회사가 아닐까 싶다.  앞으로 니어스랩의 성장 방향은 어떠할까?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첫째 니어스랩의 전방 산업인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ESG, 탈탄소 바람을 타고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아 향후 풍력발전의 성장세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둘째 플랜트, 교량, 댐, 통신 시설 등 주변 모든 인프라가 니어스랩의 안전점검 대상이 될 것이다. 인프라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니어스랩 데이터 포털 ‘Zoomable’에 축적될 것이며 이런 데이터는 세상에 새로운 시각을 더할 것이다.  셋째 비행이란 행위에서 새 가치를 발견하려는 미래의 혁신 서비스에 니어스랩의 자율비행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는 든든한 지원군이 될 것이다.


자율비행SW와 데이터를 구독하는 모델도 가능하다. 현재 테슬라가 FSD(Full Self-Driving: 완전 자율주행 기능)을 구독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처럼 니어스랩의 이런 비전도 꿈만은 아니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 /스톤브릿지 제공]


니어스랩


- 설립일 : 2015년 5월


- 주사업 : 자율 비행하는 드론


- 창업자 : 최재혁 대표(사진)와 정영석 CTO


- 투자(누적) : 100억원 이상


Contact us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지금 니어스랩에 문의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