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혁 니어스랩 대표 “아찔한 고공 점검, 자율비행 드론이 대신하죠”
자체 개발한 AI 자율비행 SW 탑재
'니어스윈드프로' 근접·고해상 촬영
점검 속도 20배 높이고 비용 줄여
빅데이터로 산업현장 변화 이끌 것
[박현욱 기자, 서울경제]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가 자율 비행 드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니어스랩]
“풍력발전기처럼 수십 m 높이의 구조물에 사람이 올라가 육안 점검하는 위험하고 힘든 작업을 자율 비행 드론이 대신할 수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해 축적되는 시설물 빅데이터로 산업 현장의 변화를 이끌고 싶습니다.”
드론 스타트업 니어스랩의 최재혁(34) 대표는 최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사람이 밧줄 하나에 의지해 장시간 구조물을 살펴봐야 하는 비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자율 비행 드론이 바꿀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니어스랩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자율 비행 소프트웨어(SW)를 심은 드론 ‘니어스윈드 프로’는 스스로 비행경로, 고도, 근접 경로 등을 판단해 비행한다. 시설물 도면 입력 없이 구조물이나 주변 환경 등을 인지하고 5m까지 접근해 시설물당 1,000여 장의 사진을 찍는다. 근접·고해상 촬영으로 0.3㎜ 크기의 균열까지 잡아낸다. 최 대표는 “버튼만 누르면 작업자의 개입 없이 비행과 점검을 끝낸다”며 “사전 정보가 제한적이고 작업 환경에 변화가 많은 현장에는 드론의 자율 비행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AI 영상 인식 알고리즘은 니어스랩의 핵심 기술이다. 무겁고 비싼 라이다(레이저 영상 센서)를 내장한 보통 드론과 달리 니어스랩은 가벼운 카메라를 이용해 AI가 영상을 분석하고 위치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지난 2019년부터 니어스랩 드론이 주로 투입된 곳이 풍력발전기다. 날개(블레이드) 하나 길이만 70~80m에 달하는 발전기를 점검하는 데 보통 작업자 2~3명이 6~7시간 매달려야 하는 작업을 자율 비행 드론은 15분으로 단축시켰다. 드론이 찍은 사진들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주머블’에 올려져 시설 관리 업체들도 상황을 손쉽게 파악한다. 그는 “드론 운용자 한 명으로도 점검 속도를 20배 이상 높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킨다”며 “시설물 업체가 과거 사진까지 시계열로 분석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것도 자율 비행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남동발전 등 발전사들이 운영하는 풍력발전 단지 100여 곳의 절반이 니어스랩 드론으로 점검을 받았다. 풍력발전기 외 영종대교·방화대교·소양강댐 등의 점검 사업도 마친 니어스랩은 지난해 글로벌 풍력발전기 업체인 지멘스가메사·베스타스 등과 손잡고 북미·대만·일본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한 최 대표는 두산중공업에서 SW 개발을 담당하면서 굴뚝 꼭대기까지 작업자가 올라가 점검하는 것을 보고 산업 현장의 혁신 필요성을 절감했다. KAIST에서 함께 드론을 연구했던 정영석 현 최고기술책임자(CTO)와 뜻을 모아 2015년 창업했다. 그는 “기업들이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 데이터를 제대로 축적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드론의 자동·소형화 기술과 클라우드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니어스랩은 올해 지멘스 등과의 협력을 통해 풍력발전기 1만 기 점검을 목표로 잡았다. 그는 “60여 년 전 인공위성 출현 때처럼 앞으로 드론이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해줄 것”이라며 “산업 현장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에 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